-
[투자뉴스] 약세장 일시적 반등일까? 다시 상승장 신호일까?(feat. 모건스탠리)주식/기업|산업 분석 & 이슈 2022. 4. 15. 03:06320x100
투자뉴스 약세장 모건스탠리에서 현재의 주식시장의 반등이 약세장의 일시적 반등이라는 의견을 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685957?sid=101
"美 증시 회복세라고?…낙관 접어라"
미국 증시의 최근 주가 회복세가 약세장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상승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착륙에 성공할 것이란 낙관이 주가에 반영됐다는 주장이다. 13일(현지
n.news.naver.com
현재의 주식시장 회복보다는 채권시장에서의 신호에 주목할 것을 언급했습니다. 주식시장의 반등세는 투자자들의 지나친 낙관과 과잉 유동성에 의한 랠리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FED가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경기침체를 유발하지는 않을것이라는 희망이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전망입니다.
모건스탠리는 연착륙에 대한 경고를 합니다. 현재의 시장환경은 경기침체를 우려해야하며 전쟁 이슈등에 대한 잠재적 역풍이 도사리고 있으며 금리 상승이 가져올 결과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시장의 신호보다는 채권시장에서 나타나는 신호들이 현실적이라는 분석입니다.
결국 경기침체를 걱정해야한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침체
경기침체 개인적으로 경기침체가 가장 안좋은 투자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경기침체의 순환고리에 한번 들어가는 순간 이를 다시 빠져나오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경기침체라는 것을 시작조차 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고 보는데, 이게 마음대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동성 폭발과 코로나(팬데믹), 전쟁 등의 이슈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이미 사실화 되었습니다. 원자재는 폭등했고, 자산가격도 상승폭을 키웠습니다. 여기까지는 괜찮습니다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브레이크가 현재로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이를 잡기 위해서는 결국 금리 인상이라는 카드만이 남았다고봅니다.
금일 한국은행도 0.25%의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왔습니다. FED는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계획중이고 실행될 경우, 한국은행도 추가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추측합니다.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처방입니다. 오늘 발표한 한국은행의 금리인상도 예상보다 가파른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함임을 밝혔습니다. 인플레이션 + 금리인상으로 인한 소비 위축이 어디까지 갈지가 미지수 입니다.
아직은 경기침체(리세션)에 대한 의견이 소수이긴 하지만 큰 금융환경의 변화가 있을 때는 소수의견이 결국 맞았다는 점도 분명 있습니다.
사실 많이 걱정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가계부채와 맞물려 금리인상에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환경에서는 인플레이션을 막을 방도가 없다고 보입니다. 장기화되는 인플레이션 속에서는 침체가 필연적이기에 어떤 포지션을 취해야 할지가 고민이 많이됩니다.
거시경제에 대한 전망만큼 무의미한 것도 없다지만 지금은 조금의 전망이라도 필요할 듯 싶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촉각을 세우고 정보를 모아야겠습니다.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어느 누구도 모르지만 있을 수 있는 최악의 경우를 따져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320x100'주식 > 기업|산업 분석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뉴스] 넷플릭스 실적 발표와 주가 폭락(feat. 가입자수 감소) (0) 2022.04.21 [투자뉴스]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제안(feat. 테슬라) (0) 2022.04.15 [기업뉴스][마이크로소프트] 미닛 인수, 자동화 영역 강화 (0) 2022.04.11 [기업뉴스][아마존] 저궤도 위성, 이제는 우주 쟁탈전 (0) 2022.04.11 [기업분석][네이버] 고성장은 어렵다?! (feat. 삼성증권 리포트) (0) 2022.04.09